예술이나 미술을 잘 모르는 분들도 로코코 라는 단어를 들어보셨을 텐데요. 오늘은 로코코가 무슨 뜻인지 또 어떤 시대적 특성을 갖고 있는지 살펴보려고 합니다. 시대별로 사회 문화적 환경이 다르다보니 그에 따라 나타나는 예술과 방향도 달라진다는 점이 예술운동의 흥미로운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로코코는 특별하게 후대의 비판을 받기도 했었기 때문에 마지막에 이 부분에 대해서도 다뤄보려고 합니다. 르네상스와 바로크에 이은 로코코 시대로 함께 떠나봅시다.
로코코 란?
로코코는 18세기 유럽에서 흥행하던 예술적 스타일로, 장식적이고 우아한 요소를 강조하는 특징을 보입니다. 로코코는 프랑스어 'rocaille'에서 파생되었는데 이는 자연에서 나온 조개 등 곡성 모양의 장식 요소를 뜻하는 말입니다. 로코코는 고전주의의 엄격한 규칙과 규모에서 벗어나고 경쾌하고 가벼운 분위기를 선호하는 특징을 보였습니다.
로코코의 스타일
로코코 시대에는 곡선적인 형태의 장식요소가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보칼 포인트(Volutes)'는 곡선 모양의 장식을 의미하며 로코코 작품에서 자주 사용되는 요소입니다. 또 로코코 작품은 주로 연한 파스텔 톤의 색상을 사용하여 경쾌하고 우아한 분위기를 표현하였습니다. 연한 핑크나 민트, 연보라 등이 흔히 사용되는 색상입니다. 로코코 작품에서는 식물 모티브가 많이 사용되었는데 특히 나뭇잎과 가지 등의 장식이 자주 등장하였습니다. 이런 장식은 작품에 자연스러움과 우아함을 더해주었습니다. 로코코 시대에는 Boudori라고 불리는 작은 공간이 인기를 끌었습니다. 이는 여성들이 잠시 쉴 수 있는 소규모의 휴식 공간이었는데 로코코 작품에서는 가방자리를 테마로 한 작품이 많이 등장했습니다. 이처럼 로코코는 가벼운 분위기와 우아한 장식성을 특징으로 하였습니다.
로코코의 대표적 작품
Francois Boucher 프랑수아 부셰의 작품 "스위트하트의 스위트하트"는 사랑의여신인 베누스를 중심으로 풍류와 사랑의 장면들을 묘사한 작품입니다. 로코코 시대의 대표적 작품입니다. 샤르당(Jean-Baptiste-Simeon Chardin)의 작품 "금단의 과일"은 일상적인 소재를 섬세하게 잘 그려내였습니다. 프랑수아 부셰는 18세기 로코코 시대를 대표하며 우아하고 화려한 분위기와 부드러운 색감을 세련되게 표현하였습니다. 또 샤르당도 로코코 시대의 사실주의적인 일상소재의 작품을 남겼습니다. 조명을 잘 사용하여 섬세하고 자연스러운 특징을 지니는 작품을 남겼습니다.
로코코 시대에 대한 비판
로코코 시대의 양식들은 당시 사회적 환경과 상류층의 취향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후대의 비판을 받기도 했습니다. 로코코 작품들은 대부분 사치스러운 테마나 일상적인 상황을 다루는 경향을 띄는데 이는 심오한 주제나 사회적 문제 등에 대한 내용이 부족하여 허전다고 가볍다는 비판을 받습니다. 또 과장된 장식과 화려한 디테일을 강조하는 로코코 양식은 아름다움에 초점을 맞추는 것으로 여겨져 실용성과 현실성을 잃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습니다. 로코코 작품은 부유한 상류층의 취향을 반영하고 세속적인 요소들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는 고귀한 예술의 가치에 대해 경시한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기도 했습니다. 또 자연을 표현하기보다 인위적인 장식과 스타일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비판을 받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비판들이 로코코 양식의 위상을 약화시키고 신규 양식들이 등장하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지금까지는 예술운동을 시대적으로 쭉 알아봤는데 조금 지루한 감이 있는 것 같아서 다음 시간에는 최근 미술 이슈와 트렌드에 대해 다뤄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흐름이 끊길 수 있지만 로코코 시대 다음 이야기도 기대해주시고 다음 글에서는 요즘 미술 이야기로 만나보아요. 오늘도 감사합니다.
'순수미술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치 미술의 종류와 발전에 대해서 함께 배워봅시다. (0) | 2023.06.02 |
---|---|
우리나라의 수묵화에 대하여 살펴봅시다. (0) | 2023.06.02 |
바로크 시대 예술의 특징과 대표작품을 알아보아요. (0) | 2023.05.23 |
르네상스, 예술 운동의 특징은 무엇일까요. (0) | 2023.05.18 |
조각 작품을 감상하는 방법과 여러 나라의 조각 작품을 알아봅시다. (0) | 2023.05.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