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수미술 중 회화 장르의 대표작가와 작품에 대해서 알아보고 있었는데요, 지난 시간에 미켈란젤로부터 시작하여 유명한 작가과 작품을 많이 알게 되었습니다. 계속 이어서 우리와 비슷한 시대를 살았던 회화 장르의 작가와 대표작들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고자 합니다.
1. 조지오 키프리아노, 마르크 샤갈, 클라우스 올덴버그
조지오 키프리아노(Giorgiio ed Chirico, 1888-1978)는 이탈리아 출신의 화가로 메타피지컬리즘 운동을 대표하는 인물입니다. 메타피지컬리즘이란 현대 미술 용어로 Meta와 Physicality의 두 단어에서 파생되었는데요. 현실 세계의 외부적 현상을 초월하고 실재하는 물질적 세계를 넘어서는 예술적 표현을 추구하는 운동입니다. 조지오 키프리아노의 작품은 현실과 상상의 경계를 넘나드는 독특한 도시 풍경이 특징으로 보입니다. 대표작 중 하나는 대화하는 동상(The Enigma of an Autumn Afternoon)으로 교과서에서 만나보셨을지도 모릅니다. 고대적인 도시의 공간과 오브제들이 신비롭고 낙서된 듯한 분위기로 그려져 있습니다. 마르크 샤갈(Marc Chagall, 1887-1985)은 러시아 출신의 화가로 신비주의와 상징주의를 선보인 작품을 많이 그렸습니다. 그의 작품은 꿈과 상상력을 담은 시적인 풍경과 인물을 다루며 밝고 생동감 넘치는 색채가 특징입니다. 그의 대표작 중 하나는 The Birthday로 천사와 사랑하는 부부가 축하하는 장면을 상징적으로 담고 있습니다. 클래스 올덴버그(Claes Oldenburg, 1929-2022)는 스웨덴 출신의 미국 현대 회화가로 팝아트와 세계적인 거대한 조형물로 유명해졌습니다. 그의 작품은 일상적인 대상과 사물을 특이하고 과장된 크기와 형태로 표현하죠. 도시 공간에 설치되는 조형물들은 대중들과 상호작용하며 그의 대표작 중 하나는 거대한 플러그(Giant Three-Way Plug)가 있는데 거대한 플르그 모양의 조형물로 사랑받습니다.
2. 앤디 골드워시, 데이미언 허스트, 마리나 아브라모비치
앤디 골드워시(Andy Goldsworthy, 1956-)는 영국 출신의 현대 예술가로 환경미술의 대표적인 인물인데요. 그의 작품은 자연 소재와 자연의 변화, 장소와의 상호작용을 중시하며 주로 임시적인 설치 작품과 자연 속에서의 조각 작업을 통해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탐구하고 있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작가 중 한명으로 우리를 편안하게 해주는 작품들이라고 생각합니다. 그의 대표작 중 하나는 Stone Sea로 해안에 조각된 돌들이 조화롭게 배열되어 풍경과 상호작용하는 작품입니다. 데이미언 허스트(Damien Hirst, 1965-)는 영국의 현대 예술가로 양과 죽음, 현실과 상상 등의 주제를 다루는 작품을 창작합니다. 그의 작품은 동물의 시체나 보존된 유기체, 다양한 물질을 사용하여 사회적인 이슈와 죽음의 의미를 탐구하죠. 우리가 전에 알아보았던 현대미술에서의 사회문제를 포함한다는 내용이 와닿는 작가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의 대표작 중 하나는 The Physical Impossibility of Death in the mind of someone living로 상어를 액리릭으로 보존해 전시된 작품이라 할 수 있습니다. 마리나 아브라모비치(Marina Abramovic, 1946-)는 세르비아 출신의 현대 예술가입니다. 퍼포먼스 아트의 중요한 이물로 그녀의 작품은 자신의 몸과 존재를 이용해 신체적인 경험과 관객과의 상호작용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대표작은 아티스트 이즈 프레젠트로 미술관에서 3개월 동안 관람객들과 눈을 마주치고 대화한 작품이 있습니다.
3. 내가 회화 장르를 좋아하는 이유
회화 장르의 다양한 작가들과 작품들을 알아보았는데요, 시대를 거스르는 회화 작품들은 많이 남아있지 않아서 아쉬움이 남습니다. 르네상스 시대부터 풍성한 발전을 해온 예술가들이 철학과 연결되어 자신의 회화 작품에 인류 철학을 녹여내려고 한 부분은 매우 아름답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현대미술 작가들의 작품은 지금도 쉽게 만날 수 있는 측에 속하기 때문에 언제든 전시를 하게 되면 한 번 접해보시는 걸 추천하고 싶습니다. 그 시대에 인류가 어떤 고민을 했는지, 어떤 문제가 사회를 감싸안고 있었는지 예술 작품을 통해 알 수 있다는 건 정말 신기하지 않나요? 이제 회화라는 장르에 대해서 조금 알게 되셨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줄글이라 작품 사진이 없는 점은 아쉽지만 계속해서 다음 글에서는 새로운 장르인 '조각'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면 좋겠습니다.
'순수미술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각 작품을 감상하는 방법과 여러 나라의 조각 작품을 알아봅시다. (0) | 2023.05.16 |
---|---|
조각의 역사와 주요 조각 기법들을 알아봅시다. (0) | 2023.05.16 |
회화 장르의 대표적인 작가와 작품을 알아봅시다. (0) | 2023.05.16 |
'회화' 장르의 역사와 변화가 궁금해요. (0) | 2023.05.15 |
순수미술의 장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0) | 2023.05.15 |
댓글